본문 바로가기
성서 식물 & 동물/성서 식물

아가서의 백합화 연구

by 제이 바이블 2012. 5. 9.
728x90

 

5. 아가서의 백합화שושנה 연구

 

아가서에서 백합화가 나오는 구절들은 총 8회 등장한다.(2:1, 2, 16; 4:5; 5:13; 6:2, 3; 7:2) 그 중에서 골짜기의 백합화는 2:1 절에שושנת העמקים  으로 등장한다. 이런 구절들 중에 저자가 생각하고 잇는 백합화가 있다면 그 표현들에서 우리가 찾으려는 백합화에 대한 힌트들을 얻을수 있다.

 

A. העמקים 에 대한 문법적 연구

-       1. העמקים

여기에서 백합화가 피는 장소를 골짜기(valley) 라고 하고 있는데 히브리어로 보면 그 의미가 정관사가 붙어 있음을 알 수 잇다. 여기에 대해서 Pope의 아가서 주석에 보면 이스르엘 골짜기의 평지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수 17:16에 이스르엘 평야를 골짜기로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1] 즉 아가서에서도 정관사를 쓰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העמק 는 이스르엘 골짜기를 가르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히브리적 해석을 하는 랍비들의 해석을 보면 이 עמק는 꽃들을 뜨거운 태양으로부터 그늘로 막아주는 존제로 해석하면서 그 자체를 Temple로 보고 성전에서 토라를 공부하는 사람들을 의로운 자들로 표현하고 그 의로운 자들은 성전의 그늘에서 공부를 하며 시들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래서 정관하 ה가 붙어있다고 설명한다.[2]

 

-       2. 정관사 ‘ה

일반적으로 정관사가 붙었다는 것은 그 이전의 것을 다시 이야기 할때와, 명사 연계형으로써 뒤쪽 명사에 정관사를 붙여주는 용법등이 있는데 특히 명사를 만들어 주는 부분에서 처음 언급하는 것에 붙여주는 용법도 있다.[3] 그래서 아가서 1장에서 골짜기를 가르키는 것이 없기 때문에 처음 언급하는 것에 대한 명사형을 쓰고 잇는 것일수 있다. Pope이 언급했던 것과 같이 어느 특별한 골짜기를 가르키는 것이라고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아가서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것이 가능하리라 본다. 하지만 아가서 자체가 다른 역사서와 달리 일반적으로 시가서로 분류되어 있고 이런 시가서는 역사적 느낌들을 많이 배제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4] 역사적인 접근이 아닌 일반적인 문학 작품으로 본다면, 정관사 ה를 붙인 이유는 그저 이스라엘에 많은 골짜기들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그런 예는 예레미야 21:13절에 보면 바벨론 왕의 침입에 대해 예언하는 예레미야의 글에 골짜기와 평원 바위에 사는 주민을 언급할때에도 העמק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rvoàyMih; rWcï qm,[e²h' tb,v,óyO %yIl;øae ynI“n>hi  WTT Jeremiah 21:13

`Wnyte(AnA[m.Bi aAbßy" ymiîW Wnyleê[' tx;äyE-ymi( ‘~yrIm.ao)h' hw"+hy>-~aun>

이런것을 보았을 아가서에 나오는 העמקים 자체도 어느 역사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장소를 지칭한다기 보다. 일반적 골짜기들을 지칭하는 단어일수 있다.[5]

 

 

 


 

 

 


[1] H. Pope, Marvin, Song of Songs,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B (New York: Doubleday, 1990) p. 368

[2] B. Ariel, and B. Chana, The Song of Songs,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p. 148

[3] Wood, C. T. A Hebrew Grammar, (London: Trubner & Co. LTD, 1913) pp. 26-28

[4] P. Hunt, Poetry in the Song of Songs A Literary Analysis,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2008) p. 2

[5] Ibid. p.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