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서 식물 & 동물/성서 식물

아가서의 백합화는 어떤 꽃일까?-1

by 제이 바이블 2012. 4. 30.
728x90

아가서의 백합화 (שושנת העמקים)

1. 도입

아가서 2:1 에서 이야기 하는 골짜기의 백합화란 어떤 꽃을 지칭하는 것일까? 히브리어로 보면 שושנת העמקים  으로 특정한 지역을 가르키는 느낌을 받는다. 만약 아가서의 저자가 한 꽃을 생각하면서 백합화를 언급했다면 분명 우리가 떠올릴 수 있는 한 꽃이 있을 것이다.

 

2. 연구 방법

하나의 꽃을 이야기 하더라도, 저자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저자의 배경과 자라온 환경이 본인의 글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또한 오랜 시간의 자연의 변화로 인하여 지금 우리가 보고 잇는 자연을 근거로 성경을 이해할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가서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로 아가서의 저작 연대와 저자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를 하고 난 후 아가서에 나오는 백합화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아가서의 백합화를 추정해 보는 것이 적절하다.

 

3. 아가서에 대한 일반적 이해

A. 아가서의 저작 연대는 언제인가?

아가서 저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그 저자가 어느시대에 배경을 두고 있는지 아는것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언어를 보면서 그 저작 시기를 추측하려고 해왔다. 그래서 대부분 학자들은 우가릿 영향을 맏은 솔로몬 시대 약 주전 10세기 정도의 글이라고 언급한다.[1] 또한 다른 학자들은 פרדס אפריון 의 단어들을 보고 헬라시대에 쓰여진 글이라고 주장한다.[2] 하지만 Young은 자신의 책에서 그 부분에 대해서 어디에서 그 단어들의 기원이 되었는지에 대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3]. 그보다는 아가서에 사용된 언어를 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그 언어들 가운데 그 시기에 대한 특징들을 찾아낼수 있다고 한다[4]. 특히 그 사용된 언어중에 이스라엘 전역을 이야기 하고 잇는 것으로 봐서 이스라엘이 분열왕국 이전의 상태였을 것이며[5] 또한 아가서와 같은 문학 작품이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이스라엘이 문학적 관심이 높아진 이유이며, 그 시기가 부한 시기라는 것까지 짐작이 가능하다.[6] 향료에 대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도 같은 이유로 이스라엘이 부강했을때에 사용했던 향료들이기에 그런 단어들을 상투적으로 쓸 수 잇었다는 것이다[7]. 그렇다면 이렇게 이스라엘 전역(갈멜산, 샤론평야, 엔게디, 디르사)을 두루 이야기 할 수 잇는 한 부강한 나라였던 때는 솔로몬 시기밖에 없다는 것이다.

 

B. 아가서의 저자는 누구인가?

그렇다면 그 저자는 누구인가에 관심을 가질수밖에 없다. 우선 아가서 제일 처음에 이야기를 하고 잇는 לשלמה 에 대한 해석으로 인해 솔로몬이 썻다고 주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하지만 이후에 Murhpy 는 솔로몬이 썼다고 주장하기에는 솔로몬을 가르키는 단어가 너무 적게 나오며(1:5; 3:7, 11; 8:11, 12) 잠언도 역시 한명의 썼다기 보다 여려명이 함께 썼을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아가서도 솔로몬이 직접 쓴 것은 아닐 것 이라고 이야기를 한다.[8] 한편 Young 은 좀더 구체적으로 북쪽에 살았던 사람이 솔로몬의 궁정에 살면서 썼을 것이라고 주장한다[9]. Young 은 아가서의 저자를 한 명으로 보고 북쪽의 배경을 가진 사람으로 보고 있다.

 

 

 

 

 

 

 

 



[1] Brenner 는 자시의 책에서 이렇게 주장하는 학자들을 (Segal, Tur-Sinai, Gerleman, Feliks, Goitein, Rabin) 으로 언급하고 잇다; A. Brenner, The song of Songs, (Sheffield: JSOT Press, 1989), p. 58

[2] Ibid. pp. 58-59

[3] I. Young, Diversity in Pre-Exilic Hebrew, (Tubingen: Mohr, Siebeck, 1993), pp. 161-63

[4] Ibid. pp. 161-63

[5] W. S. Lasor, D. A. Hubbard, and F. W. Bush. Old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Eerdmans, 1982), 602-603.

[6] M. H. Segal, ”The Song of Songs, VT 12 (1962): 483.

[7] Ibid. pp. 470-90.

[8] R. E. Murphy, “Form-critical Studies in the Song of Songs,Int 27 (1973): 436-443.

[9] I. Young, Diversity in Pre-Exilic Hebrew (Tubingen: Mohr Siebeck, 1993), 165.

반응형